[전망] 2017년 하반기 12대 주력산업
수출, 생산, 내수, 수입: 증가 예상
2017.7.3(월)
A. 수출 증가 : IT 및 신흥국 경기 호전 등으로 전년동기비 9.9% 증가 전망
- 수출 상승세 : 조선, 가전, 디스플레이를 제외한 12대 주력산업 증가세 예상
- IT 산업 성장 :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AI, loT, 빅데이터 등의 글로벌 수요 증가
- 소재산업 중심의 수출단가 상승 :
철강. 수요회복, 원자재 가격 상승, 중국 구조조정에 따른 공급과잉 해소
반도체. 글로벌 반도체 제조업체들이 D램에 대한 투자를 축소하며 공급부족, 낸드플레시 수요 증가 및 경쟁업체의 매각
음식료, 자동차. 고가 제품으로 변화.
- 중국. 고사양 중간재 수요 증가 (∵ 중국 산업 경쟁력 및 규제 강화로 조달이 어려운 제품 예상)
- 신흥시장 회복세
- 상반기에 비해 증가세 둔화
- 보호무역주의 지속 :
철강. 상계관세 등 수입규제 압력.
조선. 교역 위축으로 해상물동량 감축.
미국. FTA 재협상과 자국산업 보호 등으로 국내업체들의 미국 시장 판촉활동 위축
중국. 사드배치에 따른 한한령 여파로 소비재산업에 제한적 영향
- 중국에 의한 공급과잉 및 글로벌 경쟁 심화 (∵중국 산업 성장과 경쟁력 강화)
- 국제유가 하방압력 (석유, 석유화학의 수출단가 상승 제한적 요인)
B. 생산 증가 : 수출 증가 예상, 신규 공장이 가동되는 반도체
- 반도체 ▲25.8% : 평택 신규 공장 가동 예정 (월 30만장 웨이퍼 생산 Capa). 미세공정을 개발하여 생산성 상승
- 정보통신기기 ▲9.0% : 기저효과와 수출 및 내수 회복. 수출용 휴대폰 부품 및 SSD 등
- 자동차 ▲3.6% : 2016년 3분기 부분파업에 따른 실적 부진의 기저효과.
- 소재산업 증가 소폭: 높은 수출 증가율에도 불구하고 수출단가 상승요인이 큼
- 조선 ▽25.8% : 수주량 감소로 인도시점별 건조량 지속 하락.
C. 내수 증가 : IT 신기술 수요 상승(4차 산업혁명 부상)
- UHD 방송, loT 가전시장 형성, 신규 스마트폰 출시, IT 제품 고도화 등의 요인
D. 수입 증가 : 수입단가 상승, 역수입 증가
- 수입단가가 상승한 소재산업군의 증가폭이 높음.
- 국내업체의 현지생산에 따른 역수입 증가로 섬유와 가전, 정보통신기기, 디스플레이 등 IT산업의 증가세가 두드러질 전망
#리포트를 요약했습니다.
출처: 산업연구원
'[이슈동향] > 산업&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동향] 반도체 및 태양광 (0) | 2017.09.0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