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학의 즐거움

미국의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에 대한 4가지 설명 미국의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에 관한 유력한 설명들 1) 중국 등 세계화의 효과2) 로봇과 같은 기술혁신3) 독점의 심화4) 부동산 보유자의 몫 증가 Four main potential explanations for the decline in labor’s share of U.S. national income: 1) China2) robots3) monopolies4) landlords. https://www.bloomberg.com/view/articles/2017-04-24/cracking-the-mystery-of-labor-s-falling-share-of-gdp 제도와 정치의 변화를 배경으로 한 노동자의 협상력 약화도 중요한 요인이겠지만,위의 글은 일단 주류경제학의 최근 연구들만 요약한다. 크루그먼.. 더보기
인재개발: 노동생산성 향상과 돌파구 찾기 2012년 산업경제학을 수강하면서 작성한 글입니다. 인재개발: 노동생산성 향상과 돌파구 찾기 글로벌 인재포럼의 발표들을 보면, 정부와 기업 모두 인재개발과 노동교육에 다방면으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발표에서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학문이 복합적이고 통합적으로 발전될 필요성이 드러나고 있어서 혹은 정보화시대에 따른 변화의 결과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인재가 요구되고 있다고 제시되었다. 이것은 시기를 구분하기를 좋아하는 학자들의 선호 때문에 그렇게 발표가 되었던 것일까. 나는 그런 시기 구분에 큰 흥미도 없을뿐더러 그런 시기 구분에 관한 연구를 할 능력도 없다. 다만, 나는 어째서 최근 들어 정부와 기업 모두 인재개발과 노동교육에 적극 힘을 기울이고 있는지에 대해 경제학적으로 생각을 해보았다. .. 더보기
상품의 질 미학은 가능할까 상품의 질 미학(Aesthetic qualities of commodities)은 가능할까 피에르 부르디외 같은 저명한 사회학자들은 상품미학 비판이론을 발전시켰다. 이들은 주로 미학이 다루고 있는 욕구와 감성을 자본주의 내에서 사회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자본주의 상품생산이 지향하는 것은 교환가치인데, 이런 상품 미학이 인간의 미적 행위를 조직하여 우리들의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상품은 사용가치가 아니라 정형화된 기호가치 때문에 구매되고 소비되며, 이 속에서 인간의 욕구는 진정으로 충족되지 않고 오로지 가상적으로 충족되어 결국 우리는 끊임없이 새로운 상품의 소비에 몰두하게 된다. 이런 상품미학들은 교환가치에 지배되는 사용가치를 중심으로 두고 사회를 분석하고 있다. 나는 이렇게 특수한 형태의 사용가치.. 더보기
남양유업 불매 운동에 대한 경제학적인 의견 2013년에 작성한 글입니다. 남양유업 불매 운동에 대한 경제학적인 의견 일반적으로 정통적인 경제학에서는 상품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아졌을 경우 소비자는 소비를 줄여 기업에게 신호를 보낸다고 설명한다. 더 싼 비용으로 더 싼 상품을 만들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은 기업은 경쟁에서 도태된다. 이제 일반적으로 경제학이 잘 다루고 있지 않는 상품의 질을 놓고 이야기 해보겠다(A. Hirschman, “Exit, Voice, and Loyalty.”, 1970). 상품의 질이 하락할 경우 소비자는 불만이 생긴다. 이런 불만을 표출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째, 가격이 올랐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소비자는 소비를 줄인다(Exit). 둘째, 소비자는 자신의 불만을 목소리를 내어 표출한다(Voice)... 더보기
중상주의 2013년 경제학사를 수강하며 정리한 글입니다. 인용이 많기 때문에 학습에만 활용해주시기 바랍니다.중상주의에 관한 자료를 인터넷에서 쉽게 찾기 어려우므로 제 글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중상주의 1. 서론 : 중상주의와 중농주의 개괄 고대와 중세의 경제사상이 압도적으로 당위적이고 규범적이라면, 근대의 경제학 이론은 경제현상에 대한 서술적 설명을 위주로 한다. 고대와 중세의 경제사상은 인간의 경제활동이 어떠해야 하는지 혹은 국가경제는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하는지를 주로 논의했다. 이에 비해 근대의 경제학은 국가경제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혹은 인간이 경제현실 속에서 실제로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논의했다. 이 같은 의미에서 경제사상이 경제학으로 바뀌는 과도기에 등장한 사조가 중상주의와 중농주의이다. 그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