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에 관한 유력한 설명들
1) 중국 등 세계화의 효과
2) 로봇과 같은 기술혁신
3) 독점의 심화
4) 부동산 보유자의 몫 증가
Four main potential explanations for the decline in labor’s share of U.S. national income:
1) China
2) robots
3) monopolies
4) landlords.
제도와 정치의 변화를 배경으로 한 노동자의 협상력 약화도 중요한 요인이겠지만,
위의 글은 일단 주류경제학의 최근 연구들만 요약한다.
크루그먼은 이 중 앞의 3개를 함께 설명하고 있지만, 4번째는 차원이 다르다.
한편, 들롱 등은 실업률을 낮추고 고용률을 높이는 고압경제가 나타나지 못했다는 것도 지적한다.
한국의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에 대한 요인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은,
1) 세계화 요인
: 중국으로부터의 수입과 함께 2000년대 중반 이후 크게 늘어난 해외직접투자 효과
2) 기술과 독점 문제
: 상대적으로 낮아진 중소기업과 비정규직의 임금
'경제학의 즐거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재개발: 노동생산성 향상과 돌파구 찾기 (0) | 2015.09.21 |
---|---|
상품의 질 미학은 가능할까 (0) | 2015.09.19 |
남양유업 불매 운동에 대한 경제학적인 의견 (0) | 2015.09.14 |
중상주의 (0) | 2015.09.08 |
경제사 방법론- 종속이론, 근대세계체제론(월러스틴) (0) | 2015.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