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IT업계가 주목하는 인구 10억명의 '넥스트 빌리언(Next Billion)' 세대
-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하는 저교육·저소득층 소비자집단
- 문맹률이 높아 텍스트보다 동영상 및 보이스 기반 플랫폼 선호
주 수요층으로 등장한 원인 : 이미지 및 동영상 위주로 진화하는 인터넷 환경, 스마트폰 단가 하락, 데이터 사용 단가 하락 등
인도의 '넥스트 빌리언' (The Wall Street Journal)
인도의 앱 사용시간 증가율 : 동영상 또는 이미지 중심의 유튜브와 페이스북의 증가율이 높다.
인도 '넥스트 빌리언'의 맞춤형 서비스와 전략
- 바바잡(Babajon) : 운전기사, 가정부 등 저숙련 구인광고를 보이스 메시지 형태로 제공. 850만명의 이용자
- 셰어잇(SHAREit) :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동영상과 음악 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앱으로 데이터 요금이 부담스러운 저소득층 사이에서 인기. 중국 레노버그룹이 제작.
- 유튜브 : 인도앱으로 동영상 직접 공유 용이. 데이터 요금과 느린 인터넷 고려.
- MX Player : 온라인 동영상을 저장하여 오프라인으로 시청 가능.
- 애플 뮤직 : 더 저렴한 가격. 인도인 대다수가 사용하는 안드로이드에서 사용 가능.
- Paytm : IT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문맹자가 가입 및 송금 용이. 200만명의 이용자(신용카드 소지자보다 많음)
인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2017년 1분기
- 시장 규모 : 2700만 대
- 삼성전자 28.1%(전년동기 대비 21.7%↑). 'Samsung Galaxy J2'가 판매량 2위.
- 중국업체들이 총 51.4%(전년 동기 대비 142.6%↑). 'Redmi Note 4 (샤오미)'가 판매량 1위 (온라인 판매량의 40.6% 차지).
- 애플 3% (다른 출처: Kantar Worldpanel)
중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2017년 2분기
- 중국 4대업체 점유율 69% (화웨이, 오포, 비보, 샤오미)
- 애플 8.2%, 삼성전자 3%
기업
#테슬라 : 모델3 대량생산 위해 15억 달러 채권발행
- 주식으로 바꿀 수 있는 전환사채(CB) 외에 회사채를 발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
- 올해 초 주식과 전환사채 시장에서 14억 달러를 조달했고 올해에만 주가가 67% 급등했지만, 전기차 생산설비의 확충에 따른 현금 유동성 압박
- 연 이자율 5% 정크본드 수준
#기아자동차 : 카셰어링사업 진출
- 주거형 브랜드 위블(WiBLE) 출시
- 아파트 단지 등 대규모 주거지 입주민에게 '주거형 카셰어링 서비스'를 시작
- 서울 구로구에 위치한 천왕연지타운 2단지 내에 쏘울EV와 니로 카니발 등 차량 9대 배치
- 입주민의 장보기나 자녀 통학과 같은 세컨드카 수요 충족
- "이번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 내 위블의 카셰어링 서비스를 국내 수도권 지역 아파트 단지로 지속 확대해나갈 계획"
#현대모비스 : 수소연료전지차(FCEV)의 핵심부품 대량 생산 체제, 세계 최초 구축
- 파워트레인 연료전지 통합모듈(PFC모듈)
- 약 700억원 투자. 충북 충주에 신공장 완공. 연간 생산 Capa 3,000대
- 차별화 : 유일한 전체 핵심부품의 종합 생산 체제. 부품은 물론 부품을 조립해 만드는 모듈까지 한 공장 내에서 생산
- 부품 경쟁력 강화 : 연료전지시스템의 전체 무게를 10% 가까이 경량화. 전체 출력 성능 15% 개선. 기술 자립과 대량 생산으로 가격 경쟁력도 상승
- 충전시간이나 친환경 면에서 수소차가 전기차보다 우월
- 2022년에는 글로벌 수소차 시장 10만대 수준으로 성장 전망 (프로스트앤드설리번)
#포스코 : 2017년 영업이익, 6년 만에 최대 규모인 4조원대 후반 예상
- 증권사 추정 : 신한금융투자 4조7825억, 현대차투자증권 4조8570억, 키움증권 4조8092억, 한국투자증권 4조7810억
글로벌 철강 수요 개선 기대감
중국 철강경기 : 재고감소 등에 따른 수급타이트로 철강가격 상승세 전환
- 성수기 수요 호조 및 재고조정 등으로 6월 이후 철강가격 회복세
- 중국 정부의 철강산업 구조조정 지속으로 경기회복세 유지 예상
주요국 철강수요 : 선진국 회복세, 신흥국 호조로 세계 수요 증가세 지속
국내 철강 수요산업 전망
원료 전망
금융
국내은행 2017년 상반기 당기순이익 8.1조 (지난해 상반기 3조, 2.7배↑)
- 대손충당금 부담 감소 : 조선·해운업 구조조정 마무리 국면. 상반기 대손비용 2.7조 (지난해 상반기 8.4조)
- 이자수익 증가 : 예대금리차 확대. 상반기 이자이익 18조 (지난해 상반기 16.9조)
주택담보대출 등 대출이 늘면서 운용자산 규모 확대, 저금리에도 예금이 몰리면서 조달비용이 감소해 순이자마진(NIM)이 확대
경제
미국 신용카드 부채 규모 1150조원, 사상 최고치
- 2017년 6월 현재 1조 210억 달러
- 카드 사용액 급증 : 7월 실업률 16년 만에 최저치 등 고용 개선, 주가 상승에 따른 '부의 효과'
- 카드 대출 증가 : 시티그룹을 비롯한 미국의 주요 은행들이 저금리 대응책으로 신용카드 대출 확대. 일자리 여건 개선으로 신용평가 점수 상승
- 미국 가계 총부채는 올해 3월 현재 12조 7300억 달러 : 지난 2008년 이후 주택 관련 부채는 1조 달러 가량 감소했지만, 자동차대출은 3670억달러, 학자금대출은 6710억 달러 각각 더 증가
-----
본 자료는 취업준비를 하며 신입으로서의 역량 함양을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이슈 현황을 상사와 동료에게 보고할 그날을 위해!
다양한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
'[이슈동향] > 기업&경제 일간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08.11 기업&경제 주요 이슈 (0) | 2017.08.11 |
---|---|
2017.08.10 기업&경제 주요 이슈 (0) | 2017.08.10 |
2017.08.08 기업&경제 주요 이슈 (0) | 2017.08.08 |
2017.08.05 기업&경제 주요 이슈 (0) | 2017.08.05 |
2017.08.04 기업&경제 주요 이슈 (0) | 2017.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