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5/10

국제냉전질서의 국제정치이론과 한국 2008년 세계외교사를 수강하며 작성한 발제문을 정리한 것입니다. 『변환의 세계정치』, 5장 국제냉전질서의 국제정치이론과 한국 ▷ 본 텍스트의 구성 - 발제를 하는 본 텍스트는 저자(이근욱)의 주관적 생각에 따라 내용이 구성되어 있음 - 새로운 현실은 새로운 이론을 필요. 현실과 유리된 이론은 그 자체로도 충분히 논리적일 수 있으나 현실을 설명하고 예측하지 못하기 때문에 경험적인 차원에서 결과적으로 기각 - 현실주의이론은 민주주의 평화에 있어, 맑스주의 시각은 중국의 경제성장 측면에서 비판 □ 현실주의 국제정치이론 : 냉전에 대한 무도덕적 이해와 국제적 갈등 ▷ 전통적 현실주의이론 : 모든 국가는 권력을 추구한다현실냉전의 발생이론가투키디데스Thucydides, 한스 모겐소Hans Morgenthau전제인.. 더보기
근대 국제정치질서와 한국의 만남 2008년 세계외교사를 수강하며 작성한 발제문을 정리한 것입니다. 『변환의 세계정치』, 1장 근대 국제정치질서와 한국의 만남 □ 문명권의 정신구조 국가나 사회는 대외 문제에 대하여 무의식적인 충동으로 반응한다. 그런 반응은 그 국가나 사회가 지니고 있는 ‘정신 구조’의 발로이며 오랜 역사로부터 나오는 지적 유산이다. … 나는 외교사 서술의 분석 단위를 국가로 하되 그 단위의 ‘정신 구조’를 형성한 문명권의 존재를 강조하는 입장을 견지한다. □ “인간의 역사는 사랑과 증오에 관한 서술”이라는 김용구의 견해를 인용하면, 1장의 내용은 서구권 안에서만 지켜지는 근대서구국제질서와 대비되는 ‘제국질서’가 서양과 동양의 충돌로 이루어졌으며 서로가 자신을 ‘보편’이자 ‘문명표준’으로 인식함과 동시에 상대방을 ‘야만’.. 더보기
아리스토텔레스의 사랑과 자본주의 경제 2009년 서양철학사를 수강하며 작성한 레포트를 정리한 것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사랑(philia)과 자본주의 경제 □ 목차 Ⅰ. 들어가는 말Ⅱ. 아리스토텔레스의 사랑(philia) - 탁월성(덕, arete)의 일종으로서의 사랑Ⅲ. 사랑은 왜 필요한가 - 사랑과 행복 그리고 윤리Ⅳ. 자본주의 경제의 물상화(reification)와 사랑(philia)Ⅴ. 맺음말 Ⅰ. 들어가는 말 많은 이들은 이 글의 제목인 “아리스토텔레스의 사랑(philia)과 자본주의 경제”를 보고, 철학적 개념인 사랑(philia)을 경제학적으로 바라보는 것에 대해 여러 의혹들을 품을 수 있다. 그러나 경제학이라는 것이 철학적으로 이미 많이 다루어지고 있는 자본주의에 대한 분석이라는 것을 상기한다면, 내가 이 글을 통해 철학적 개.. 더보기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 2009년 서양철학사를 수강하며 작성한 레포트를 정리한 것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 인간은 왜 사는가?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인간은 행복하기 위해 산다. 《니코마코스 윤리학》의 출발점인 동시에 전체를 끌어가는 핵심개념이 바로 ‘행복’이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인간의 모든 의도된 행위는 어떤 목적을 지향하며, 이 목적이 성취되면 이 목적은 다시 더 높은 목적을 위한 수단이 돼 그 위의 목적에 이바지한다. 이렇게 목적과 수단의 지속적인 연쇄관계의 계단을 계속 밟아 올라가면, 더 이상 다른 것의 수단이 아니라 그 자체가 목적인 최종 목적지에 도달한다. 이것이 다름 아닌 인생의 가장 좋은 것(최고선)이자 궁극적인 목적인 행복eudaimonia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다음으로 행복에 대한 통념들을 검토한.. 더보기
플라톤 향연, 에로스를 사유하다 2009년 서양철학사를 수강하며 플라톤 향연에 대해 작성한 발제문을 정리한 것입니다. Platon : SYMPOSIUM 델포이의 아폴론 신전 현관 기둥에 새겨졌다는 “너 자신을 알라”라는 말로 우리에게 친숙히 다가오는 소크라테스는 평소 스스로 무지를 자처하며, 인간들 가운데 가장 지혜로운 자는 “앎에 관한 한 자신은 아무것도 아님을 아는 자”라는 철학을 펼쳐나간 인물이다. 그런 그가 『향연』에서 예외적으로 에로스에 관한 것 외에는 아무것도 모른다, 즉 에로스에 관해서는 안다고 피력한 바 있다(177d). 이것은 과연 모순된 발언일까? 나는 그렇지 않다고 본다. 『향연』에서 소크라테스와 디오티마의 논의를 보면, 에로스는 다른 것, 자신에게 없는 어떤 것과 관계를 맺는 가운데 존재하기 때문에 신이 될 수 없.. 더보기